
2025년 최저임금이 시간당 10,03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. 이는 2024년 대비 1.7% 인상된 금액으로, 대한민국 최저임금 제도 도입 이후 처음으로 1만원을 넘어선 역사적인 순간입니다.
1. 2020년부터 2025년까지의 최저임금 변화
최저임금의 연도별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:
• 2020년: 8,590원 (2.87% 인상)
• 2021년: 8,720원 (1.5% 인상)
• 2022년: 9,160원 (5.05% 인상)
• 2023년: 9,620원 (5.0% 인상)
• 2024년: 9,860원 (2.5% 인상)
• 2025년: 10,030원 (1.7% 인상)
2. 신입사원이 받게 될 최저 월급
2025년 최저 월급 계산
2025년 신입사원이 받게 될 최저 월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:
• 시급: 10,030원
• 월 근무시간: 209시간 (주 40시간 근무, 주휴수당 포함)
• 최저 월급: 2,096,270원
수습기간 중 월급
1년 이상의 근로계약을 체결한 경우, 수습 기간 3개월 동안은 최저임금의 90%를 지급할 수 있습니다. 단, 단순노무직의 경우 예외적으로 100%를 지급해야 합니다.
• 수습기간 중 시급: 9,027원 (10,030원의 90%)
• 수습기간 중 월급: 1,886,643원
3. 최저임금 인상이 미치는 영향
- 대학생 및 취업준비생에게 미치는 영향
1. 생활비 및 학비 부담 완화: 매월 약 3만원의 추가 수입으로 생활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
2. 인턴 및 수습 급여 증가: 최저 연봉 상승으로 인턴이나 수습 기간 중인 취업준비생들의 급여도 함께 상승합니다.
- 기업에 미치는 영향
1. 인건비 부담 증가: 최저임금 인상으로 기업의 인건비 부담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.
2. 고용 조정 가능성: 일부 기업에서는 인건비 부담으로 인한 고용 조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.
4. 결론
2025년 최저임금 인상으로 근로자들의 기본적인 생활 수준 향상이 기대됩니다. 그러나 기업의 부담과 고용 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하여 균형 있는 정책 실행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. 근로자와 기업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될 것입니다.